Surprise Me!

[뉴스포커스] 동부구치소 또 집단감염…233명 추가확진

2020-12-29 0 Dailymotion

[뉴스포커스] 동부구치소 또 집단감염…233명 추가확진<br /><br /><br />서울 동부구치소에서 추가로 200여명이 확진 판정을 받아 국내 코로나19 확진자가 다시 천명을 넘었습니다.<br /><br />요양병원을 중심으로 한 집단감염 사례 규모도 연일 커지고 있어 추가 대책이 시급한 상황입니다.<br /><br />서울 동부구치소에서 추가로 무더기 확진자가 나오면서, 국내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또다시 천명을 넘었습니다.<br /><br />요양병원을 중심으로 한 집단감염 사례 규모도 연일 커지고 있어 이에 대한 추가 대책이 시급한 상황입니다.<br /><br />국내에서도 영국발 변이 바이러스 확진자가 처음 확인돼 방역당국에 비상이 걸렸습니다.<br /><br />기내 전파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는데요.<br /><br />관련 내용, 백순영 가톨릭의대 명예교수와 함께 짚어보겠습니다.<br /><br />어서 오십시오.<br /><br /> 국내에서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이틀 연속 천명 미만 발생해 잠시 주춤하는 모양새였는데, 어제 다시 천명을 넘었습니다. 동부구치소에서 230명 넘는 확진자가 추가로 발생한 영향이 큰 것 같은데요. 현재 코로나19 확산세, 어떻게 보십니까?<br /><br /> 동부구치소 수용자 1,689명 중 현재까지 모두 748명이 확진 판정을 받았는데요. 지난 18일 1차 검사에서 185명, 23일 2차 검사에서 300명, 그리고 어제 233명이 또 나온 겁니다. 5일에 한 번씩 추가 검사를 했는데 확진자가 계속 발생했어요?<br /><br /> 중증 환자는 없지만, 경증 또는 무증상 환자가 많아 확진자들을 생활치료센터로 지정된 청송으로 이송했죠? 청송 교도소 인근 주민들이 이송과정에서 n차 감염을 우려해 반발했다는 소식이 전해졌는데요. 이송 과정 중에 감염 위험은 어느 정도인가요?<br /><br /> 전세계 20여개국에서 영국발 변이 바이러스가 번지고 있는데요. 국내에서도 확진자가 처음 확인됐습니다. 일가족 3명이 입국 당시 양성으로 확인되면서 기내 전파 가능성이 제기됐는데요. 영국에서 한국까지 11시간가량 걸리는데, 기내 감염 가능성 어떻게 보시나요?<br /><br /> 일단 변이 바이러스가 국내에서 유행하는 바이러스보다 전파력이 1.7배 높다고 알려져 있는데요. 그 밖에 또 변이 바이러스는 어떤 특징이 있나요?<br /><br /> 이 변이 바이러스 때문에 백신 효과가 없는 게 아닐까 하는 우려가 커지고 있어요. 백신 회사들이 변이 바이러스와 관련해 효능 실험을 하고 있다면서요? 결과가 나왔나요?<br /><br /> 정부가 지난 주말 사회적 거리두기 2.5단계를 엿새 연장했습니다. 현재 연말연시 특별방역까지 시행되고 있는데요. 이런 상황에서 영국발 변이 바이러스의 지역사회 감염 가능성 어떻게 보시나요?<br /><br /> 정부가 변이 바이러스의 추가 유입을 막기 위해 모든 입국자에 대해 격리해제 전에 추가로 진단검사를 시행하기로 했습니다. 변이 바이러스 차단 대책은 어떻게 보십니까?<br /><br /> 백신 얘기도 해보겠습니다. 우리 정부는 물량을 충분히 확보했고 내년 2월부터 접종을 시작할 수 있다고 밝혔습니다. 내년 1분기 코백스 퍼실리티를 통해 확보한 코로나19 백신도 국내에 도입될 예정이라고 했는데요. 내년 2월부터 접종이 시작된다면, 일반 국민은 언제쯤 접종이 가능해질까요? 시기적으로 괜찮은 건가요?<br /><br /> 정부가 2~3월부터 시작될 접종 계획을 내년 1월에 발표하겠다고 했습니다. 일단 고위험 의료기관 종사자와 요양시설 노인부터 우선 접종을 시작하는데요. 목표대로, 올해 3분기까지 집단면역 형성이 가능할 거라 보십니까?<br /><br /> 미국이나 독일에는 코로나19 백신을 맞는 접종센터가 있죠? 국내에도 이런 백신접종센터가 생기는데요. 지역 곳곳에서 백신을 맞으려면 이런 센터가 많아야 할 것 같은데, 준비는 어떻게 이뤄지고 있나요?<br /><br /> 요양병원 감염 사례도 짚어보겠습니다. 동일집단격리를 하고 있지만, 확진자를 치료하던 의료진 감염 사례뿐 아니라 다른 병원 병상을 기다리다 사망한 사례도 나왔습니다. 요양시설의 격리치료, 다른 대책이 필요하지 않을까요?<br /><br /> 치료제 소식도 있습니다. 바이오기업 셀트리온이 조만간 코로나19 항체 치료제의 조건부 허가를 신청할 예정입니다. 이 치료제가 허가되면, 우리 기술로 만든 첫 코로나19 치료제가 탄생하게 되는 거 아닌가요? 내년 1월 시판도 가능할 거라면서요?<br /><br /> 셀트리온 관계자에 따르면 이 치료제가 백신 역할도 할 수 있다고 하는데, 가능한 건가요?<br /><br />지금까지 백순영 가톨릭의대 명예교수였습니다.<br /><br />감사합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

Buy Now on CodeCanyon